섹션 소개 Theme



역사적 이주 — 도도기 (逃島記)*

역사적인 배경 속 불가피한 이주의 여정에서 인간은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 내며 살아가는가를 살펴본다. 섬을 떠나고 들어오는 이들이 수없이 교차하던 제주는 이주의 역사와 관계가 깊다. 제주를 포함한 곳곳에서 피치 못할 사정으로 살던 곳을 떠난 이들의 사연, 타인의 구술, 흔적을 따라 이야기를 상상하고 유추하며 이주의 이면을 살핀다. 각자만의 사유로 이동하는 다양한 삶을 마주하며 이주의 서사를 구성한다.

*도도기는 ‘섬을 떠나는 기록’이란 뜻의 현우민 작품 제목이기도 하다.

참여작가

고닥×요하네스 말파티, 오봉준×사라 오-목크, 
이지유, 청영, 클라라 청


작품설명 바로가기↗



문화적 이주 — 입도조 (入島祖)*

제주에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아 정착한 이주민들이 존재하며 그 역사도 세대를 거쳐 의미를 지닌다. 2010년을 전후한 제주 이주 열풍으로 유입인구가 증가했으며 여기에는 젊은 세대와 외국인도 다수 포함된다. 전시는 다양한 문화의 맥락 안에서 이주, 정착, 거주의 과정을 축적하며 혼성의 삶을 영위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마주한다. 이러한 경험은 일상을 새롭게 조형하고 문화를 재정의한다. 

*입도조는 박정근의 작품 시리즈명이기도 하다.

참여작가

곽선경, 박정근, 배효정×케이트 배, 양화선×넷, 
현우민


작품설명 바로가기↗



생태적 이주 — 토종과 외래종

이동과 이주는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의 본능이다. 인간뿐 아니라 생태계의 다양한 동물, 식물, 곤충도 생존을 위해 이주한다. 이동을 통해 생존한 이들은 그 지역의 새로운 토종이 되고, 토종과 외래종이 혼재하며 구분이 모호해진다. 기후위기와 생태 관계를 연구하는 시각예술 분야 작가들이 전 세계적으로 눈에 띈다. 그들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생태적 이주를 통한 기후위기의 대안을 모색해 본다.

참여작가

김옥선, 마르코 바로티, 아키 이노마타, 양숙현×캇 오스틴, 이유진×루앙삭 아누왓위몬


작품설명 바로가기↗


우발적 이주 — 변종의 탄생

예술이 매체를 이동시키며 탄생한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의미의 이동으로 변형되는 예술적 생명체를 이야기한다. 매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다양한 영역과 연관 지으면서 이동의 범위를 확장한다. 예술적 상상력으로 진화하고 변화하며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은 예술적 생존을 위한 이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주의 개념을 물리적·한정적인 의미에서 탈피하여 폭넓게 사유할 기회를 마련한다.

참여작가

박지현, 백남준, 새미 리×엠제이 하딩, 지용호, 최우람


작품설명 바로가기↗





 Theme



Historic Migration

— Leaving the island (Totoki)*

This section closely examines the stories and livelihoods humans create when sent on the inevitable journey of migration against the backdrop of history. Jeju Island has deep ties to the history of migration. Whether told by someone else, inferred from clues, or imagined, the stories of those forced to leave their homes, including Jeju,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allow us to examine the other side of migration. They make up a narrative of migration, telling of the different lives migrants faced as they moved for their own individual reasons.

*Totoki, meaning ‘the record of leaving the island,’ is also the title of Woomin Hyun’s work.


Artists

Kodac Ko × Johannes Malfatti, Bongjun Oh × Sarah Oh-Mock, Jiyu Lee, Yung Cheung, Clara Cheung


More detail↗



Cultural Migration
— Immigrating ancestors (Ipdojo)*


In Jeju, there are migrants who have chosen to settle on this island in search of a new way of life, and the meaning behind that history has passed through generations. Jeju saw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eople coming to settle on the island during the Jeju migration craze in the 2010s, including a large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This exhibition is an accumulation of the processes behind migrating, settling and residing in a new place within a wide array of cultural contexts, and encountering the stories telling of the mix of lives they led.

* Ipdojo is also the name of Junggeun Park’s series of artworks.


Artists

Sun K. Kwak, Jungkeun Park, Hyo Jung Bea × Kate Bae, Hwaseon Yang × NET(Watith Tangjai), Woomin Hyun


More detail↗


Ecological Migration
— Species both native and introduced


Movement and migration are instinctive actions for all living beings. Not only humans, the multitude of animals, plants, and insects within an ecosystem also migrate for survival. The species that survive due to migration become new native species in a region, leading to a mix of native and introduced, ultimately making the distinction purely ambiguous. Artist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who study the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attract attention worldwide. By examining the works of these artists, we can explore possible options for dealing with the climate crisis.


Artists

Oksun Kim, Marco Barotti, Aki Inomata, Sookyun Yang × Kat Austen, Yujin Lee × Ruangsak Anuwatwimon


More detail↗



Accidental Migration — Birthing mutations

This tells of the artistic creatures created by moving art through different mediums and the new meaning of movement formed through their creation. While giving meaning to the mediums and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various areas, it expands the scope of movement. These experiments that evolve, change, and cross boundaries, birthed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can be interpreted as migration for the sake of artistic survival. By shedding the physical, restrictive concepts that define migration, we are allowed the opportunity to think more broadly.


Artists

Jihyun Park, Nam June Paik, Sammy Lee × M. J. Harding, Yongho Ji, U-ram Choe


More detail↗


섹션 소개  Theme 



역사적 이주 — 도도기 (逃島記)*


역사적인 배경 속 불가피한 이주의 여정에서 인간은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 내며 살아가는가를 살펴본다. 섬을 떠나고 들어오는 이들이 수없이 교차하던 제주는 이주의 역사와 관계가 깊다. 제주를 포함한 곳곳에서 피치 못할 사정으로 살던 곳을 떠난 이들의 사연, 타인의 구술, 흔적을 따라 이야기를 상상하고 유추하며 이주의 이면을 살핀다. 각자만의 사유로 이동하는 다양한 삶을 마주하며 이주의 서사를 구성한다.

*도도기는 '섬을 떠나는 기록'이란 뜻의 현우민 작품 제목이기도 하다.


참여작가
고닥×요하네스 말파티, 오봉준×사라 오-목크, 이지유, 청영, 클라라 청


작품설명 바로가기↗

Historic Migration — Leaving the island (Totoki)*


This section closely examines the stories and livelihoods humans create when sent on the inevitable journey of migration against the backdrop of history. Jeju Island has deep ties to the history of migration. Whether told by someone else, inferred from clues, or imagined, the stories of those forced to leave their homes, including Jeju,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allow us to examine the other side of migration. They make up a narrative of migration, telling of the different lives migrants faced as they moved for their own individual reasons.

*Totoki, meaning ‘the record of leaving the island,’ is also the title of Woomin Hyun’s work.


Artists
Kodac Ko  × Johannes Malfatti, Bongjun Oh × Sarah Oh-Mock,  Jiyu Lee, Yung Cheung, Clara Cheung


More detail↗



문화적 이주 — 입도조 (入島祖)*

제주에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아 정착한 이주민들이 존재하며 그 역사도 세대를 거쳐 의미를 지닌다. 2010년을 전후한 제주 이주 열풍으로 유입인구가 증가했으며 여기에는 젊은 세대와 외국인도 다수 포함된다. 전시는 다양한 문화의 맥락 안에서 이주, 정착, 거주의 과정을 축적하며 혼성의 삶을 영위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마주한다. 이러한 경험은 일상을 새롭게 조형하고 문화를 재정의한다.

*입도조는 박정근의 작품 시리즈명이기도 하다.


참여작가
곽선경, 박정근, 배효정×케이트 배, 양화선×넷, 현우민


작품설명 바로가기↗

Cultural Migration — Immigrating ancestors (Ipdojo)*

In Jeju, there are migrants who have chosen to settle on this island in search of a new way of life, and the meaning behind that history has passed through generations. Jeju saw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eople coming to settle on the island during the Jeju migration craze in the 2010s, including a large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This exhibition is an accumulation of the processes behind migrating, settling and residing in a new place within a wide array of cultural contexts, and encountering the stories telling of the mix of lives they led.

* Ipdojo is also the name of Junggeun Park’s series of artworks.


Artists
Sun K. Kwak , Jungkeun Park, Hyo Jung Bea × Kate Bae, Hwaseon Yang  × NET(Watith Tangjai), Woomin Hyun 


More detail↗


생태적 이주 — 토종과 외래종

이동과 이주는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의 본능이다. 인간뿐 아니라 생태계의 다양한 동물, 식물, 곤충도 생존을 위해 이주한다. 이동을 통해 생존한 이들은 그 지역의 새로운 토종이 되고, 토종과 외래종이 혼재하며 구분이 모호해진다. 기후위기와 생태 관계를 연구하는 시각예술 분야 작가들이 전 세계적으로 눈에 띈다. 그들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생태적 이주를 통한 기후위기의 대안을 모색해 본다.


참여작가
김옥선, 마르코 바로티, 아키 이노마타, 양숙현×캇 오스틴, 이유진×루앙삭 아누왓위몬

작품설명 바로가기↗

Ecological Migration — Species both native and introduced

Movement and migration are instinctive actions for all living beings. Not only humans, the multitude of animals, plants, and insects within an ecosystem also migrate for survival. The species that survive due to migration become new native species in a region, leading to a mix of native and introduced, ultimately making the distinction purely ambiguous. Artist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who study the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attract attention worldwide. By examining the works of these artists, we can explore possible options for dealing with the climate crisis.


Artists
Oksun Kim , Marco Barotti, Aki Inomata, Sookyun Yang × Kat Austen, Yujin Lee × Ruangsak Anuwatwimon


More detail↗



우발적 이주 — 변종의 탄생

예술이 매체를 이동시키며 탄생한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의미의 이동으로 변형되는 예술적 생명체를 이야기한다. 매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다양한 영역과 연관 지으면서 이동의 범위를 확장한다. 예술적 상상력으로 진화하고 변화하며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은 예술적 생존을 위한 이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주의 개념을 물리적·한정적인 의미에서 탈피하여 폭넓게 사유할 기회를 마련한다.


참여작가
박지현, 백남준, 새미 리×엠제이 하딩, 지용호, 최우람


작품설명 바로가기↗

Accidental Migration — Birthing mutations

This tells of the artistic creatures created by moving art through different mediums and the new meaning of movement formed through their creation. While giving meaning to the mediums and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various areas, it expands the scope of movement. These experiments that evolve, change, and cross boundaries, birthed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can be interpreted as migration for the sake of artistic survival. By shedding the physical, restrictive concepts that define migration, we are allowed the opportunity to think more broadly.


Artists
Jihyun Park , Nam June Paik, Sammy Lee × M. J. Harding, Yongho Ji , U-ram Choe


More detail↗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079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주최 | 제주특별자치도  

Hos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주관 | 제주도립미술관

Organized by Jeju Museum of Art(JMoA)

Copyright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TEL 064-710-4300 /  FAX 064-710-4269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