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숙현×캇 오스틴

Sookyun Yang × Kat Austen




양숙현은 대한민국 광주에서 출생하여 진학을 위해 이주한 후 현재까지 서울에서 살며 작업하고 있다. 고향인 광주에 대한 기억은 아련하고 서울 내에서도 이주는 반복되기에 정착에 대한 감정 역시 흐릿하다. 


캇 오스틴은 스스로 머무르는 곳이 자연의 현상처럼 매 순간 주어진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에 역시 정의할 수 없다고 말한다. 최근 베를린, 런던 그리고 서울에서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식생, 이동

양숙현과 캇 오스틴은 무엇이 경계인지, 어디에서 출발하여 어디까지를 구분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진다.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육지는 대륙에서 떨어진 섬과 다를 바 없는데, 제주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에 경계가 명확하다고 이야기한다. 물질의 거대한 힘으로 생성된 땅은 바다로 에워싸여, 인간에 의해 섬과 산, 제주와 한라라는 이름을 갖는다. 이 지질학적 덩어리는 인간 사회의 시스템과 인지 과정 내에서 구분되고 구획된다. 하지만 지구의 역사와 생태 앞에서 인간의 기록은 과연 유효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외래와 토착종이 뒤섞여 만드는 제주의 생태적 풍요로움과 생동하는 물질 경험은 오랜 이주의 결과이자 기록이다. 제주도는 한라산을 기준으로 고도별 기후가 달라 식생도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전 지구적 온난화로 인해 낮은 식생대에 살던 종들이 높은 고도의 서식지로 옮겨가고 있다. 식생의 변화는 과학적 근거로, 인간에게 암울한 기후 위기의 지표이지만 식생의 이주는 환경에 적응하려는 물질들의 자연스러운 변화이기도 하다. 

제주의 식생이 이동하는 다채로운 경로를 우리는 예측할 수 없다. 양숙현과 캇 오스틴은 기온과 고도의 영향에 따라 이주하는 식생에 대한 인간적 지표에서 벗어나, 중력에 반하여 아래에서 위로 순환하는 환경 속에 존재할 법한 통로(portal)를 상상해 본다. 그 신비로운 통로는 한라산의 가시적으로 보이는 표면이 아니라 내부 깊숙한 곳을 지나며 밀실의 물질을, 식생을 이동시키는 차원이다. 양숙현은 수직 이동을 통해 채굴한 한라산의 다양한 식생 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수평적 시선으로 풀어내는 영상 작업을 제시한다. 캇 오스틴은 한라산의 보이지 않는 소리 공간을 찾아내어 필드 레코딩으로 담아낸 앰비언트 사운드(ambient sound)로 풀어낸다.



양숙현
1982년


학력

2008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인터랙션 디자인 졸업 

2005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 전시

2023《메타-리얼리티》, 세종모터갤러리, 서울
2022《채널: 입자가 파동이 되는 순간, 창원조각비엔날레》, 창원
2022《제로원데이》, 에스팩토리, 서울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캇 오스틴 


학력

2010

샌트럴 세이트 마틴 조각을 위한 금속가공 전공

2006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데이브 험프리 연구소 화학 박사


주요 전시

2022《창원조각비엔날레 2022》,성산아트홀, 창원
2022《Fossil Experience》, 프라터갤러리, 베를린, 독일
2021《WRO비엔날레》, WRO아트센터, 브로츠와프, 폴란드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Sookyun Yang was born in Gwangju, South Korea, migrating for university to Seoul where she now lives. As a migrant to Seoul, she doesn’t feel a great sense of belonging to any one region, and her memories of Gwangju are fuzzy at best.


Kat Austen mainly works in Berlin, Germany; Seoul, South Korea; and London, England. She believes that the place one stays can change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moment and situation.


When plants migrate

Both Sookyun Yang and Kat Austen question what boundaries are and how to distinguish from where to where they have been drawn. Due to the dividing line that separates South Korea from the continent, it’s no different from an island; but Jeju Island, surrounded by the ocean, has a clear physical boundary. Jeju Island, with its ecological richness and vibrant tangible experience that was created through its mix of foreign and indigenous, has inspired the resulting migrations and records thereof.


Hallasan (Mount Halla) and Jeju Island cannot be thought of as two separate entities. Humans call this land, risen through whatever force and surrounded by the ocean, both a mountain and an island. This geological mass is partitioned and distinguished by the human systems and structures of perception. However, when faced with the immense history and ecology of the Earth, the definitions we give what is indigenous and what is migratory are no longer valid.


With the soaring peak of Hallasan, Jeju Island’s climate varies according to altitude, and each region is host to different sorts of vegetation. Recently however, due to global warming, some species that lived at lower altitudes are moving to habitats higher up the mountain. The movement of these vegetation belts can be viewed as an indicator of the climate crisis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but few people can get a tangible grasp of this movement.


Sookyun Yang and Kat Austen slough off the human perspective of plants migrating due to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altitude, instead imagining an environment where plants rotate from bottom to top in a passage that opposes gravity. This mysterious passageway that connects from the tip of Hallasan to her coastal caves, shows the vibrant vegetation of Jeju Island. The records of the island’s vertical movements are laid out on the floor, drawing the eye in a horizontal line.


Migration ha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word. Indeed, the pathways through which vegetation moves throughout Jeju Island cannot be judged through only a single criterion. In creating images based on the data gathered about 

the various types of vegetation of Hallasan, Sookyun Yang presents viewers with a new sort of sensory experience. Kat Austen adds the invisible sound space of Hallasan to the exhibit with her on-site recording of its ambient sound.




Sookyun Yang

b.1982


EDUCATION

2008MFA, Interaction Design, Hongik University 
2005BFA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LECTED EXHIBITION

2023Meta-Realities, Sejong Motor Gallery, Seoul
2022Channel: Wave-Particle Duality,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2, Changwon 
2022Festival ZER01NEDAY, S-Factory, Seoul 


Website↗ 

Instagram↗



Kat Austen


EDUCATION

2010Metalwork for Sculpture, Central Saint Martins, London, UK 
2006PhD, Chemistry, University College Lodon And Davy Faraday Laboratory 


SELECTED EXHIBITION

2022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2, Seongsan Art Hall, Changwon 
2022Fossil Experience, Prater Gallery, Berlin, Germany
2021WRO Biennale, WRO Art Center, Wroclaw, Poland 


Website↗

Instagram↗



양숙현×캇 오스틴


Sookyun Yang × Kat Austen


양숙현은 대한민국 광주에서 출생하여 진학을 위해 이주한 후 현재까지 서울에서 살며 작업하고 있다. 고향인 광주에 대한 기억은 아련하고 서울 내에서도 이주는 반복되기에 정착에 대한 감정 역시 흐릿하다.

캇 오스틴은 스스로 머무르는 곳이 자연의 현상처럼 매 순간 주어진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에 역시 정의할 수 없다고 말한다. 최근 베를린, 런던 그리고 서울에서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식생, 이동


양숙현과 캇 오스틴은 무엇이 경계인지, 어디에서 출발하여 어디까지를 구분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진다. 분단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육지는 대륙에서 떨어진 섬과 다를 바 없는데, 제주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에 경계가 명확하다고 이야기한다. 물질의 거대한 힘으로 생성된 땅은 바다로 에워싸여, 인간에 의해 섬과 산, 제주와 한라라는 이름을 갖는다. 이 지질학적 덩어리는 인간 사회의 시스템과 인지 과정 내에서 구분되고 구획된다. 하지만 지구의 역사와 생태 앞에서 인간의 기록은 과연 유효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외래와 토착종이 뒤섞여 만드는 제주의 생태적 풍요로움과 생동하는 물질 경험은 오랜 이주의 결과이자 기록이다. 제주도는 한라산을 기준으로 고도별 기후가 달라 식생도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전 지구적 온난화로 인해 낮은 식생대에 살던 종들이 높은 고도의 서식지로 옮겨가고 있다. 식생의 변화는 과학적 근거로, 인간에게 암울한 기후 위기의 지표이지만 식생의 이주는 환경에 적응하려는 물질들의 자연스러운 변화이기도 하다. 제주의 식생이 이동하는 다채로운 경로를 우리는 예측할 수 없다.

양숙현과 캇 오스틴은 기온과 고도의 영향에 따라 이주하는 식생에 대한 인간적 지표에서 벗어나, 중력에 반하여 아래에서 위로 순환하는 환경 속에 존재할 법한 통로(portal)를 상상해 본다. 그 신비로운 통로는 한라산의 가시적으로 보이는 표면이 아니라 내부 깊숙한 곳을 지나며 밀실의 물질을, 식생을 이동시키는 차원이다. 양숙현은 수직 이동을 통해 채굴한 한라산의 다양한 식생 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수평적 시선으로 풀어내는 영상 작업을 제시한다. 캇 오스틴은 한라산의 보이지 않는 소리 공간을 찾아내어 필드 레코딩으로 담아낸 앰비언트 사운드(ambient sound)로 풀어낸다.


Sookyun Yang was born in Gwangju, South Korea, migrating for university to Seoul where she now lives. As a migrant to Seoul, she doesn’t feel a great sense of belonging to any one region, and her memories of Gwangju are fuzzy at best.

Kat Austen mainly works in Berlin, Germany; Seoul, South Korea; and London, England. She believes that the place one stays can change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moment and situation.



When plants migrate

Both Sookyun Yang and Kat Austen question what boundaries are and how to distinguish from where to where they have been drawn. Due to the dividing line that separates South Korea from the continent, it’s no different from an island; but Jeju Island, surrounded by the ocean, has a clear physical boundary. Jeju Island, with its ecological richness and vibrant tangible experience that was created through its mix of foreign and indigenous, has inspired the resulting migrations and records thereof.

Hallasan (Mount Halla) and Jeju Island cannot be thought of as two separate entities. Humans call this land, risen through whatever force and surrounded by the ocean, both a mountain and an island. This geological mass is partitioned and distinguished by the human systems and structures of perception. However, when faced with the immense history and ecology of the Earth, the definitions we give what is indigenous and what is migratory are no longer valid. With the soaring peak of Hallasan, Jeju Island’s climate varies according to altitude, and each region is host to different sorts of vegetation. Recently however, due to global warming, some species that lived at lower altitudes are moving to habitats higher up the mountain. The movement of these vegetation belts can be viewed as an indicator of the climate crisis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but few people can get a tangible grasp of this movement.



Sookyun Yang and Kat Austen slough off the human perspective of plants migrating due to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altitude, instead imagining an environment where plants rotate from bottom to top in a passage that opposes gravity. This mysterious passageway that connects from the tip of Hallasan to her coastal caves, shows the vibrant vegetation of Jeju Island. The records of the island’s vertical movements are laid out on the floor, drawing the eye in a horizontal line. Migration ha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word. Indeed, the pathways through which vegetation moves throughout Jeju Island cannot be judged through only a single criterion. In creating images based on the data gathered about the various types of vegetation of Hallasan, Sookyun Yang presents viewers with a new sort of sensory experience. Kat Austen adds the invisible sound space of Hallasan to the exhibit with her on-site recording of its ambient sound.



양숙현  
1982년


학력

2008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인터랙션 디자인 졸업 

2005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주요 전시

2023《메타-리얼리티》, 세종모터갤러리, 서울
2022《채널: 입자가 파동이 되는 순간, 창원조각비엔날레》, 창원
2022《제로원데이》, 에스팩토리, 서울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캇 오스틴  


학력

2010

샌트럴 세이트 마틴 조각을 위한 금속가공 전공

2006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데이브 험프리 연구소 화학 박사


주요 전시

2022《창원조각비엔날레 2022》,성산아트홀, 창원
2022《Fossil Experience》, 프라터갤러리, 베를린, 독일
2021《WRO비엔날레》, WRO아트센터, 브로츠와프, 폴란드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Sookyun Yang 

b.1982


EDUCATION

2008

MFA, Interaction Design, Hongik University

2005BFA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LECTED EXHIBITION

2023Forking room: 2023,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22Channel: Wave-Particle Duality,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2, Changwon
2022Festival ZER01NEDAY, S-Factory, Seoul


Website↗

Instagram↗



Kat Austen


EDUCATION

2010Metalwork for Sculpture, Central Saint Martins, London, UK
2006PhD, Chemistry, University College Lodon And Davy Faraday Laboratory


SELECTED EXHIBITION

2022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2, Seongsan Art Hall, Changwon
2022Fossil Experience, Prater Gallery, Berlin, Germany
2021WRO Biennale, WRO Art Center, Wroclaw, Poland


Website↗

Instagram↗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079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주최 | 제주특별자치도  

Hos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주관 | 제주도립미술관

Organized by Jeju Museum of Art(JMoA)

Copyright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TEL 064-710-4300 /  FAX 064-710-4269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