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근
Jungkeun Park
입도조 Ipdojo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 2023
입도조 Ipdojo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 2023
입도조(入島祖)_백성탄, 김나니 Ipdojo_Sungtan Baek, Nani Kim피그먼트 프린트 Pigment print / 110x150cm / 2023
박정근은 대한민국 충북 음성 출생으로 2012년 가족과 함께 서울에서 제주로 이주했다. 가족은 약 1년의 제주 생활 후 떠났지만, 박정근은 여전히 남아 사람, 자연, 그리고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있다.
입도조
박정근은 자신을 포함한 제주의 사람과 자연이 이리저리 부유하다가, 우연한 계기 혹은 어떤 의도에 의해 제주에 심기는 과정에 주목한다. 제주에서는 나고 자란 곳을 등진 후 섬에 발을 딛고 정착해 첫 조상이 되는 사람을 입도조(入島祖)라고 부른다.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를 와서 귀양살이하다가 남은 이들이 입도조가 됐다. 제주 토착 성씨인 고, 부, 양 씨를 제외하면 모두 입도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입도조>는 이주하는 인간과 변화하는 제주의 환경을 담고 있다. 지역의 문화와 이주민이 더해 놓은 행위가 탄생시킨 기묘한 풍경은 지금의 제주와 문화를 가시화한다. 다양한 이유와 각자의 바람을 가지고 입도했지만, 새로운 터에 정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꿈꾼 가족의 배경에는 인공물이 등장하고 입도조의 표정과 자세에는 알 수 없는 공허함이 비친다. 작가는 같은 이주민의 입장으로 그들의 불안한 상태에 공감한다.
2023년 신작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입도한 이들의 서사가 추가되었다. 함께하는 구성원 없이 홀로 서 있는 초상 또한 시대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로 기능한다. 박정근은 제주라는 섬에서 이주민이 경험하며 변화시키는 자연과 문화를 무심한 시선으로 기록한다.
Jungkeun Park was born in Eumseong County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moving from Seoul to Jeju with his family in 2012. His family left Jeju around a year later, but Jungkeun Park stayed behind to gather stories about the people, nature, and history of the island.
Ipdojo
Jungkeun Park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ay the people and nature of Jeju island drift here and there before, whether by random chance or particular intention, they plant themselves on the island. In Jeju, the people who turned their backs on the places they were born and raised in to step foot on the island and settle there became the first migrants to the island, the first forefathers of the people called the ipdojo (Korean – 입도조, Chinese characters - 入島祖). During the Joseon era of Korea, those who were banished from the mainland and forced to live in exile on Jeju became ipdojo. Except for members of the Ko, Yang, and Bu families (who are considered indigenous to the island), every person of a new surname to settle on the island can be labeled an ipdojo.
The term ipdojo embodies both the migrating peoples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of Jeju Island. Local culture and the actions carried out by the newly settled citizens of the island have reformed the land into a peculiar landscape that brought forth a new Jeju and a culture along with it. Though the people came for their own reasons, carrying their particular hopes and dreams along with them, it’s never easy settling into new homes. In the background of the families dreaming of living amongst nature, artificial objects can be seen, along with an emptiness in both expression and posture of the ipdojo that cannot be explained. As a migrant himself, the artist can sympathize with their restlessness.
In his recent work created in 2023, a new narrative was written about the migrants brought in during the event we now call the COVID-19 pandemic. The portrait standing alone with nothing at its side also functions as a keyword necessary in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times and the culture. Jung-geun Park’s work records, from his detached perspective, the nature and culture that migrants both experience and have a hand in changing.
Jungkeun Park
b.1978
EDUCATION
2013 | MFA, Photography, Chungang University |
2005 | BFA, Photography, Kyungil University |
SELECTED EXHIBITION
2022 | Chasm, Sahng-up Gallery, Seoul |
2021 | Remembrance of Things, Seoi Gallery, Seoul |
2019 | Ipdojo, KT&G Sangsangmadang, Seoul |
박정근
Jungkeun Park
입도조 Ipdojo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 2023
입도조 Ipdojo전시 전경 Installation view / 2023
입도조(入島祖)_백성탄, 김나니 Ipdojo_Sungtan Baek, Nani Kim피그먼트 프린트 Pigment print / 110x150cm / 2023
박정근은 대한민국 충북 음성 출생으로 2012년 가족과 함께 서울에서 제주로 이주했다. 가족은 약 1년의 제주 생활 후 떠났지만, 박정근은 여전히 남아 사람, 자연, 그리고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있다.
입도조
박정근은 자신을 포함한 제주의 사람과 자연이 이리저리 부유하다가, 우연한 계기 혹은 어떤 의도에 의해 제주에 심기는 과정에 주목한다. 제주에서는 나고 자란 곳을 등진 후 섬에 발을 딛고 정착해 첫 조상이 되는 사람을 입도조(入島祖)라고 부른다.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를 와서 귀양살이하다가 남은 이들이 입도조가 됐다. 제주 토착 성씨인 고, 부, 양 씨를 제외하면 모두 입도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입도조>는 이주하는 인간과 변화하는 제주의 환경을 담고 있다. 지역의 문화와 이주민이 더해 놓은 행위가 탄생시킨 기묘한 풍경은 지금의 제주와 문화를 가시화한다. 다양한 이유와 각자의 바람을 가지고 입도했지만, 새로운 터에 정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꿈꾼 가족의 배경에는 인공물이 등장하고 입도조의 표정과 자세에는 알 수 없는 공허함이 비친다. 작가는 같은 이주민의 입장으로 그들의 불안한 상태에 공감한다.
2023년 신작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입도한 이들의 서사가 추가되었다. 함께하는 구성원 없이 홀로 서 있는 초상 또한 시대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로 기능한다. 박정근은 제주라는 섬에서 이주민이 경험하며 변화시키는 자연과 문화를 무심한 시선으로 기록한다.
Jungkeun Park was born in Eumseong County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moving from Seoul to Jeju with his family in 2012. His family left Jeju around a year later, but Jungkeun Park stayed behind to gather stories about the people, nature, and history of the island.
Ipdojo
Jungkeun Park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ay the people and nature of Jeju island drift here and there before, whether by random chance or particular intention, they plant themselves on the island. In Jeju, the people who turned their backs on the places they were born and raised in to step foot on the island and settle there became the first migrants to the island, the first forefathers of the people called the ipdojo (Korean – 입도조, Chinese characters - 入島祖). During the Joseon era of Korea, those who were banished from the mainland and forced to live in exile on Jeju became ipdojo. Except for members of the Ko, Yang, and Bu families (who are considered indigenous to the island), every person of a new surname to settle on the island can be labeled an ipdojo.
The term ipdojo embodies both the migrating peoples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of Jeju Island. Local culture and the actions carried out by the newly settled citizens of the island have reformed the land into a peculiar landscape that brought forth a new Jeju and a culture along with it. Though the people came for their own reasons, carrying their particular hopes and dreams along with them, it’s never easy settling into new homes. In the background of the families dreaming of living amongst nature, artificial objects can be seen, along with an emptiness in both expression and posture of the ipdojo that cannot be explained. As a migrant himself, the artist can sympathize with their restlessness.
In his recent work created in 2023, a new narrative was written about the migrants brought in during the event we now call the COVID-19 pandemic. The portrait standing alone with nothing at its side also functions as a keyword necessary in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times and the culture. Jung-geun Park’s work records, from his detached perspective, the nature and culture that migrants both experience and have a hand in changing.
Jungkeun Park
b.1978
EDUCATION
2013 | MFA, Photography, Chungang University |
2005 | BFA, Photography, Kyungil University |
SELECTED SOLO EXHIBITION
2022 | Chasm, Sahng-up Gallery, Seoul |
2021 | Remembrance of Things, Seoi Gallery, Seoul |
2019 | Ipdojo, KT&G Sangsangmadang, Seoul |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079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주최 | 제주특별자치도
Hos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주관 | 제주도립미술관
Organized by Jeju Museum of Art(JMoA)
Copyright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TEL 064-710-4300 / FAX 064-710-4269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