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 이노마타

Aki Inomata




아키 이노마타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작품 활동을 위해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 폴란드, 벨기에, 프랑스, 호주, 대만, 한국 등 세계 곳곳을 여행했고,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2014년에는 독일 함부르크, 2017년에는 미국 뉴욕에서 생활했다.


소라게에게 쉼터를 제공한다면? 

아키 이노마타는 도쿄에 거주하며 느낀 메가시티의 삭막함으로 인해 반대 개념인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한다. 동물과 인간의 관계, 그로부터 파생되는 피조물을 연구하는 과정에 공예가, 조각가, 과학자, 기술자 등 타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한다. 다양한 종의 생물과 협업을 진행하며 ‘만들기’라는 행위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2009년 일본 주재 프랑스 대사관 철거를 기념하는 전시에 참여하면서 대사관 이전을 위해 일본 땅의 국적을 변경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이 경험은 <소라게에게 쉼터를 제공한다면? -국경-(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Border-)>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소라게 작업은 전 세계 여러 도시를 거치면서 지역적 배경에 맞게 변주된 형태로 선보인다. 집게과 동물은 스스로 갑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고둥이나 소라의 껍데기를 빼앗거나 주워서 자신을 보호한다. 작가는 몸이 성장할 때마다 적당한 크기의 집을 찾아 이사해야 하는 소라게에게 세계 각국의 도시를 본뜬 레진 껍데기를 선물한다. 주로 지역을 상징하는 건축 이미지로 제작하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관덕정’을 모델로 삼았다. 관덕정은 1448년 제주 목사 신숙청이 국사 훈련을 위해 지은 조선시대 누정으로, 제주 시내 중심부에 위치하여 오랫동안 제주 광장 문화의 터전이었다.


아키 이노마타는 껍데기를 소라게 식별을 위한 외형적 요소로 이해하고 인종, 성별과 같은 외적 모습에 편견을 가지는 인간의 성향과 연관짓는다. 소라게는 질 좋은 껍데기를 위해 서로 경쟁하지만, 이러한 집착

은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정체성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권유한다.





아키 이노마타  
1983년


학력

2008

도쿄예술대학 대학원 인터미디어 전공 졸업


주요 전시

2020《Broken Nature》, 뉴욕현대미술관, 뉴욕, 미국
2019《22회 밀라노 트라이날레 Broken Nature: Design Takes on Human Survival》, 밀라노, 이탈리아
2018《태국 끄라비 비엔날레 2018》, 끄라비, 태국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Aki Inomata was born in Tokyo, Japan and has lived there her whole life. However, she has taken trips to America, England, Austria, Poland, Belgium, France, Australia, Taiwan, Korean, and more for her works of art. She also lived in Hamburg, Germany in 2014 and New York, USA in 2017 on artist residency programs.


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In opposition to the desolation of Tokyo, the megacity where she was born and calls home, Aki Inomata is quite interested in nature and explores it regularly. In this field, she finds herself among the professionals, including craftsmen, sculptors, scientists, technicians, and more, studying animals, humans, and the creature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oreover, this artist collaborates with various living beings in the making of her art and notes that the process of “making” is not exclusively a human action.

While participating in a 2009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demolition of the French embassy in Japan, she learned of the fact that the dominion of Japanese land was to be turned over to relocate the embassy. This experience influenced her work titled 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Border-. Since then, her work with hermit crabs has passed through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varying in form to fit the background of each nation.

Creatures like hermit crabs don‘t make their own shells, instead stealing or picking up the shells from conch or other snails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This artist models a shell fashioned to look like a city of the world out of resin and gifts it to these creatures that have to move out of their old shells and find a new home as their bodies grow larger. Since she regularly models her works after the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structure of a region, she has chosen to recreate the Gwandeokjeong Hall, the oldest structure on the island. Gwandeokjeong Hall, a pavilion built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1448 by Jeju Moksa (magistrate) Suk-cheong Shin as a military training center, stands as a central plaza in downtown Jeju, long serving as the center of Jeju culture.

Aki Inomata recognizes that the shells of hermit crabs are a form of outward identification for the creatures, likening them with human tendencies to form prejudices based on outward appearances, such as race and gender. They compete for the highest quality shells, but this obsession can turn into a cause for conflict. Through her work, this artist invites spectators to reflect on the nature of personal identity.




Marco Barotti

b.1979


EDUCATION

2008MFA,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Department of Inter-Media Art


SELECTED EXHIBITION

2020Broken Nature, MoMA, New York, USA 
2019The XXII Triennale di Milano, Broken Nature: Design Takes on Human Survival, Milano, Italy
2018Thailand Biennale Krabi 2018, Krabi, Thailand 


Website↗

Instagram↗



아키 이노마타



아키 이노마타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작품 활동을 위해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 폴란드, 벨기에, 프랑스, 호주, 대만, 한국 등 세계 곳곳을 여행했고,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2014년에는 독일 함부르크, 2017년에는 미국 뉴욕에서 생활했다.



소라게에게 쉼터를 제공한다면?


아키 이노마타는 도쿄에 거주하며 느낀 메가시티의 삭막함으로 인해 반대 개념인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한다. 동물과 인간의 관계, 그로부터 파생되는 피조물을 연구하는 과정에 공예가, 조각가, 과학자, 기술자 등 타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한다. 다양한 종의 생물과 협업을 진행하며 ‘만들기’라는 행위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2009년 일본 주재 프랑스 대사관 철거를 기념하는 전시에 참여하면서 대사관 이전을 위해 일본 땅의 국적을 변경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경험은 <소라게에게 쉼터를 제공한다면? -국경-(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Border-)>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이후 소라게 작업은 전 세계 여러 도시를 거치면서 지역적 배경에 맞게 변주된 형태로 선보인다. 집게과 동물은 스스로 갑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고둥이나 소라의 껍데기를 빼앗거나 주워서 자신을 보호한다.
작가는 몸이 성장할 때마다 적당한 크기의 집을 찾아 이사해야 하는 소라게에게 세계 각국의 도시를 본뜬 레진 껍데기를 선물한다. 주로 지역을 상징하는 건축 이미지로 제작하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관덕정’을 모델로 삼았다. 관덕정은 1448년 제주 목사 신숙청이 국사 훈련을 위해 지은 조선시대 누정으로, 제주 시내 중심부에 위치하여 오랫동안 제주 광장 문화의 터전이었다.


아키 이노마타는 껍데기를 소라게 식별을 위한 외형적 요소로 이해하고 인종, 성별과 같은 외적 모습에 편견을 가지는 인간의 성향과 연관 짓는다. 소라게는 질 좋은 껍데기를 위해 서로 경쟁하지만, 이러한 집착은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정체성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권유한다.



Aki Inomata was born in Tokyo, Japan and has lived there her whole life. However, she has taken trips to America, England, Austria, Poland, Belgium, France, Australia, Taiwan, Korean, and more for her works of art. She also lived in Hamburg, Germany in 2014 and New York, USA in 2017 on artist residency programs.



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In opposition to the desolation of Tokyo, the megacity where she was born and calls home, Aki Inomata is quite interested in nature and explores it regularly. In this field, she finds herself among the professionals, including craftsmen, sculptors, scientists, technicians, and more, studying animals, humans, and the creature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oreover, this artist collaborates with various living beings in the making of her art and notes that the process of “making” is not exclusively a human action.

While participating in a 2009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demolition of the French embassy in Japan, she learned of the fact that the dominion of Japanese land was to be turned over to relocate the embassy. This experience influenced her work titled Why Not Hand Over a “Shelter” to Hermit Crabs? -Border-. Since then, her work with hermit crabs has passed through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varying in form to fit the background of each nation. Creatures like hermit crabs don‘t make their own shells, instead stealing or picking up the shells from conch or other snails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This artist models a shell fashioned to look like a city of the world out of resin and gifts it to these creatures that have to move out of their old shells and find a new home as their bodies grow larger. Since she regularly models her works after the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structure of a region, she has chosen to recreate the Gwandeokjeong Hall, the oldest structure on the island. Gwandeokjeong Hall, a pavilion built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1448 by Jeju Moksa (magistrate) Suk-cheong Shin as a military training center, stands as a central plaza in downtown Jeju, long serving as the center of Jeju culture.


Aki Inomata recognizes that the shells of hermit crabs are a form of outward identification for the creatures, likening them with human tendencies to form prejudices based on outward appearances, such as race and gender. They compete for the highest quality shells, but this obsession can turn into a cause for conflict. Through her work, this artist invites spectators to reflect on the nature of personal identity.

아키 이노마타 
1983년


학력

2008

도쿄예술대학 대학원 인터미디어 전공 졸업


주요 전시 

2020《Broken Nature》, 뉴욕현대미술관, 뉴욕, 미국
2019《22회 밀라노 트라이날레 Broken Nature: Design Takes on Human Survival》, 밀라노, 이탈리아
2018《태국 끄라비 비엔날레 2018》, 끄라비, 태국


웹사이트↗

인스타그램↗


Aki Inomata 

b.1983


EDUCATION

2008MFA,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Department of Inter-Media Art


SELECTED EXHIBITION

2020Broken Nature, MoMA, New York, USA
2019The XXII Triennale di Milano, Broken Nature: Design Takes on Human Survival, Milano, Italy
2018Thailand Biennale Krabi 2018, Krabi, Thailand


Website↗

Instagram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079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주최 | 제주특별자치도  

Hos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주관 | 제주도립미술관

Organized by Jeju Museum of Art(JMoA)

Copyright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TEL 064-710-4300 /  FAX 064-710-4269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