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루앙삭 아누왓위몬
Yujin Lee × Ruangsak Anuwatwimon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이유진은 대한민국 대구 출생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서울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그리고 대학원은 미국에서 졸업했다. 유학 시절 이탈리아, 중국, 독일에 머물렀다. 2017년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창작공간 레지던시에 참여한 것이 큰 계기가 되어, 2018년 가을 홀로 제주로 이주했다.
루앙삭 아누왓위몬(Ruangsak Anuwatwimon)은 4세대 중국계 태국인이다. 일본, 대만, 벨기에에서 레지던시 입주작가로 활동했다. 2023년 여름, 제주에 머무르며 작업을 진행했다.
우리가 ── 하는 한
<우리가 ── 하는 한>은 이유진과 루앙삭 아누왓위몬이 제주에서 두 달간 함께 거주하며 진행한 생태적이고 관계 중심적인 연구를 시각화한 몰입형 설치 작품이다. 관람객은 작품 제목의 빈칸에 ‘사랑’, ‘돌보는’, ‘머무는’, ‘떠나는’, ‘논쟁하는’, ‘노래하는’ 등 다양한 명사와 동사를 채울 수 있다. 즉 복수의 시나리오 혹은 풍경을 상상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작품과 관계 맺을 수 있다.
신화(mythology)란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가변적인 지식 체계로 인간이 세상과 맺는 관계를 받아들이는 매개체였다. 신화와 의식에 등장하는 비인간 존재는 우리의 두려움, 기쁨, 삶과 죽음을 상징했다. 환
생과 부활을 의미하는 제주 토산리 뱀 신화는 외지인이 섬에 들어오면서 새로이 맺고 뒤엉키는 인연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과학을 통해 과거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인간은 스스로를 자연세계와 분리하고 비인간 종을 ‘침입종’ 혹은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월령마을의 손바닥선인장 같은 특정 침입종은 보호 및 포용하는 반면, 비자림로의 애기뿔소똥구리와 같은 멸종위기종은 처참히 외면한다. 또한, 칡과 같이 약용 및 여러 쓰임을 가졌던 토착종은 이제 제주에서 침입종으로 간주하며 지방 정부의 ‘전쟁 선포’까지 받고 있다. 인간은 자연 세계를 지배하려 하지만 정작 스스로는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 하는 한>은 역설적이고 불완전한 과학 지식 체계의 가면을 내려놓기를 권유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지속적인 교란 행위에도 불구하고 ‘다차원적인 삶이 가능한(livable) 미래 풍경’을 함께 만들어 나가기 위해 공생적 태도를 상상해 보는 것이다.
이유진
1986년
학력
2015 |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미술대학원 시각예술 석사 졸업 |
2009 | 뉴욕 코넬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졸업 |
주요 전시
2023 | 《바다를 건너는 부엌: 식구》, 오버그라운드 후쿠오카, 후쿠오카, 일본 |
2021 | 《BeMuse : 맺고 풀고》(이유진x조아라 협동 전시 및 퍼포먼스), 갤러리도스, 서울 |
2019 | 《무지개 아래》,VER갤러리, 방콕 태국 |
루앙삭 아누왓위몬
1975년
주요 전시
2022 | 《포스트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
2021 | 《The Hunters: A Pollination Project》, MAIIAM현대미술관, 치앙마이, 태국 |
2019 |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싱가포르 비엔날레, 싱가포르 |
Yujin Lee was born in Daegu, South Korea. She spent he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in Seoul and graduated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the US. While studying abroad, she lived in Rome, Italy; Shanghai, China; and Berlin, Germany. In 2017, Lee participated in an artist residency program located in Daejeong-eup, Seogwipo-si, which inspired her to move to Jeju the following fall.
Ruangsak Anuwatwimon is a fourth generation Thai Chinese. He worked as a resident artist in Japan, Taiwan, and Belgium. He also stayed in Jeju during the summer of 2023 to create his work.
As long as we ____
As long as we ____ is an immersive art installation that visualizes ecological and relational research conducted in collaboration between Yujin Lee and Ruangsak Anuwatwimon over the course of a two-month-long artist residency in Jeju. As long as we ____ invites the visitors to actively engage with the work, to imagine multiple scenarios and landscapes by filling in the blank with various nouns and verbs such as love, care, stay, leave, argue, sing, etc.
Mythology has been a collective and fluid knowledge system that mediated human interaction with the world. Non-human beings appeared in myths and rituals to represent our fears, joys, living and dying. The myth of Tosan snake goddess in Jeju symbolizes reincarnation and regeneration, depicting an outsider entering the island and forming entwining new relationships. Today, however, we rely on science to analyze the past and predict the future. Humans separate ourselves from the natural world and categorize non-human species as “invasive” or “endangered”.
Ironically, some invasive species like the cactus of Wollyeong village are embraced and protected, while other endangered species like the dung beetle of Bijarim road are tragically ignored. Medicinal indigenous species like the arrowroot that had many beneficial uses are now considered invasive in Jeju and are facing extermination by the local government. The truth is, humans try to govern the natural world when we can’t even control ourselves. As long as we ____ unmasks the paradoxical and incomplete system of knowledge based on science, and redirects our imagination towards a mode of symbiosis, where we can collaborate on creating “a heterogeneous livable future landscape” despite the continuing human and non-human disturbances.
Yujin Lee
b.1986
EDUCATION
2015 | MFA, Visual Arts,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the Arts, New York |
2009 | BFA, Painting, Cornell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rt, and Planning, Ithaca, NY |
SELECTED EXHIBITION
2023 | Ocean Crossing Kitchen: Sikgu, OVERGROUND Fukuoka, Fukuoka, Japan |
2021 | BeMuse : Wind and Unwind (collaborative exhibition and performance with Ahra Jo), Gallery DOS, Seoul |
2019 | Under the Rainbow, VER Gallery, Bangkok, Thailand |
Ruangsak Anuwatwimon
b.1975
SELECTED EXHIBITION
2022 | Post Nature: Dear Nature, Ulsan Art Museum, Ulsan |
2021 | The Hunters: A Pollination Project,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
2019 |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Singapore Biennale, Singapore |
이유진×루앙삭 아누왓위몬
Yujin Lee × Ruangsak Anuwatwimon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우리가 ─하는 한 As long as we ─혼합재료 Mixed media / 가변크기 Dimensions variable / 2023
이유진은 대한민국 대구 출생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서울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그리고 대학원은 미국에서 졸업했다. 유학 시절 이탈리아, 중국, 독일에 머물렀다. 2017년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창작공간 레지던시에 참여한 것이 큰 계기가 되어, 2018년 가을 홀로 제주로 이주했다.
루앙삭 아누왓위몬(Ruangsak Anuwatwimon)은 4세대 중국계 태국인이다. 일본, 대만, 벨기에에서 레지던시 입주작가로 활동했다. 2023년 여름, 제주에 머무르며 작업을 진행했다.
우리가 ── 하는 한
<우리가 ── 하는 한>은 이유진과 루앙삭 아누왓위몬이 제주에서 두 달간 함께 거주하며 진행한 생태적이고 관계 중심적인 연구를 시각화한 몰입형 설치 작품이다. 관람객은 작품 제목의 빈칸에 ‘사랑’, ‘돌보는’, ‘머무는’, ‘떠나는’, ‘논쟁하는’, ‘노래하는’ 등 다양한 명사와 동사를 채울 수 있다. 즉 복수의 시나리오 혹은 풍경을 상상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작품과 관계 맺을 수 있다.
신화(mythology)란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가변적인 지식 체계로 인간이 세상과 맺는 관계를 받아들이는 매개체였다. 신화와 의식에 등장하는 비인간 존재는 우리의 두려움, 기쁨, 삶과 죽음을 상징했다. 환
생과 부활을 의미하는 제주 토산리 뱀 신화는 외지인이 섬에 들어오면서 새로이 맺고 뒤엉키는 인연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과학을 통해 과거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인간은 스스로를 자연세계와 분리하고 비인간 종을 ‘침입종’ 혹은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월령마을의 손바닥선인장 같은 특정 침입종은 보호 및 포용하는 반면, 비자림로의 애기뿔소똥구리와 같은 멸종위기종은 처참히 외면한다. 또한, 칡과 같이 약용 및 여러 쓰임을 가졌던 토착종은 이제 제주에서 침입종으로 간주하며 지방 정부의 ‘전쟁 선포’까지 받고 있다. 인간은 자연 세계를 지배하려 하지만 정작 스스로는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 하는 한〉은 역설적이고 불완전한 과학 지식 체계의 가면을 내려놓기를 권유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지속적인 교란 행위에도 불구하고 ‘다차원적인 삶이 가능한(livable) 미래 풍경’을 함께 만들어 나가기 위해 공생적 태도를 상상해 보는 것이다.
Yujin Lee was born in Daegu, South Korea. She spent he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in Seoul and graduated high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the US. While studying abroad, she lived in Rome, Italy; Shanghai, China; and Berlin, Germany. In 2017, Lee participated in an artist residency program located in Daejeong-eup, Seogwipo-si, which inspired her to move to Jeju the following fall.
Ruangsak Anuwatwimon is a fourth generation Thai Chinese. He worked as a resident artist in Japan, Taiwan, and Belgium. He also stayed in Jeju during the summer of 2023 to create his work.
As long as we ____
As long as we ____ is an immersive art installation that visualizes ecological and relational research conducted in collaboration between Yujin Lee and Ruangsak Anuwatwimon over the course of a two-month-long artist residency in Jeju. As long as we _____ invites the visitors to actively engage with the work, to imagine multiple scenarios and landscapes by filling in the blank with various nouns and verbs such as love, care, stay, leave, argue, sing, etc.
Mythology has been a collective and fluid knowledge system that mediated human interaction with the world. Non-human beings appeared in myths and rituals to represent our fears, joys, living and dying. The myth of Tosan snake goddess in Jeju symbolizes reincarnation and regeneration, depicting an outsider entering the island and forming entwining new relationships. Today, however, we rely on science to analyze the past and predict the future. Humans separate ourselves from the natural world and categorize non-human species as “invasive” or “endangered”.
Ironically, some invasive species like the cactus of Wollyeong village are embraced and protected, while other endangered species like the dung beetle of Bijarim road are tragically ignored. Medicinal indigenous species like the arrowroot that had many beneficial uses are now considered invasive in Jeju and are facing extermination by the local government. The truth is, humans try to govern the natural world when we can’t even control ourselves. As long as we ____ unmasks the paradoxical and incomplete system of knowledge based on science, and redirects our imagination towards a mode of symbiosis, where we can collaborate on creating “a heterogeneous livable future landscape” despite the continuing human and non-human disturbances.
이유진
1986년
학력
2015 |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미술대학원 시각예술 석사 졸업 |
2009 | 뉴욕 코넬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졸업 |
주요 전시
2023 | 《바다를 건너는 부엌: 식구》, 오버그라운드 후쿠오카, 후쿠오카, 일본 |
2021 | 《Be-Muse : 맺고 풀고》(이유진x조아라 협동 전시 및 퍼포먼스), 갤러리도스, 서울 |
2019 | 《무지개 아래》, VER갤러리, 방콕 태국 |
루앙삭 아누왓위몬
1975년
주요 전시
2022 | 《포스트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
2021 | 《The Hunters: A Pollination Project》, MAIIAM현대미술관, 치앙마이, 태국 |
2019 |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싱가포르 비엔날레, 싱가포르 |
Yujin Lee
b.1986
EDUCATION
2015 | MFA, Visual Arts,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the Arts, New York |
2009 | BFA, Painting, Cornell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Art, and Planning, Ithaca, NY |
SELECTED EXHIBITION
2023 | Ocean Crossing Kitchen: Sikgu, OVERGROUND Fukuoka, Fukuoka, Japan |
2021 | BeMuse : Wind and Unwind (collaborative exhibition and performance with Ahra Jo), Gallery DOS, Seoul |
2019 | Under the Rainbow, VER Gallery, Bangkok, Thailand |
Ruangsak Anuwatwimon
b.1975
SELECTED EXHIBITION
2022 | Post Nature: Dear Nature, Ulsan Art Museum, Ulsan |
2021 | The Hunters: A Pollination Project, MAIIAM Contemporary Art Museum, Chiang Mai, Thailand |
2019 | Ever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Singapore Biennale, Singapore |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6307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3079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주최 | 제주특별자치도
Hos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주관 | 제주도립미술관
Organized by Jeju Museum of Art(JMoA)
Copyright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제주 사무국
Project Jeju secretariat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연동)
TEL 064-710-4300 / FAX 064-710-4269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립미술관 2023 All Rights reserved.